-
2025년도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복지 정보 2025. 1. 15. 14:13반응형
Q. 청년도약계좌가 뭔가요?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 납입금액에 비례해 개인소득 구간별로 정부기여금 지원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인 자가 매달 70만 원 납입 시 ▶ 월 33,000원의 기여금 지원)
(개인소득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자 ▶ 기여금 미지급, 비과세만 지원)
* 은행별 금리 상이 :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youth_leap_2.php
* 만기 일시 지급 (이자소득세 0원)
*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 해지하는 경우, 비과세 및 기여금 지급 유지 (60%) _2025년 신설
*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원금의 40% 한도 내에서 부분인출 가능 _2025년 신설Q. 지원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국민을 지원합니다.
* 나이 : 계좌개설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 개인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가구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가구원 : 본인 + 본인의 주민등록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 기준* 금융소득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Q. 기준 중위소득 250%는 얼마인가요?
* 중위소득
매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거해 국가에서 발표하는 전체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의미합니다.
국가에서 진행하는 복지 정책의 중요한 기준 지표로 활용됩니다.
* 2025년 중위소득 (단위 : 원/월)
기준 중위소득 250% 1인 가구 2,392,013 5,980,033 2인 가구 3,932,658 9,831,645 3인 가구 5,025,353 12,563,383 4인 가구 6,097,773 15,244,433 5인 가구 7,108,192 17,770,480 6인 가구 8,064,805 20,162,013 Q. 어떻게 신청하나요?
은행 앱으로 가입을 신청하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 심사를 진행하고,
심사 통과 후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1. 은행 앱에서 비대면 계좌 신청 (※ 매달 신청일 정해져 있음)
* 상품 취급 은행 :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
* 신청일 확인하기 : https://ylaccount.kinfa.or.kr/main
2.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은행에서 받은 자료 토대로 심사 (약 2주 소요)
※ 본인 외 가구소득 확인이 필요할 경우, 가구원들의 정보 조회 동의를 구하는 연락이 옵니다.
3. 결과 안내받으면 정해진 기간 내 계좌 개설하기반응형